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아기 정서발달

by <book> 2020. 9. 18.

1. 정서반응 측정법

 

- 정서반응 측정법 : 정서발달 연구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정서의 기저를 이루는 지표가 되는 얼굴 표정 패턴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 음성을 분석하는 방법 : 음성 표현을 분석하여 여러 가지 정서들을 일관성 있게 파악한다.

 

- 신체적 표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크게 이용되지는 않는다.(아이의 행동)

 

- 자율신경계의 반응으로 분석 : 심장박동률, 혈압, 호흡률과 같이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나타내는 신체적 특징 역시 정서의 각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정서의 강도 정도를 알 수 있다.)

 

2. 정서의 기능

학습 및 인지과정 조절 기능

- 학습과 인지과정에 지대한 영향

 

캄포스와 동료들 : 걸음마 걷기 시작하는 영아들은 전기 콘센트에 손을 대서 충격을 받는다거나 위험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가파른 계단으로 떨어지는 경우는 없는데, 이는 영아가 전기 콘센트에 손을 대거나 가파른 계단에 다가갈 때 부모들이 보이는 정서반응을 통해 자기보호 행동을 획득하기 때문이다.

 

- 아동의 정서는 기억 정보를 저장하고 회상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아동은 학습시 평온한 정서 상태가 유지될 때 기억을 보다 잘 한다.

 

사회적 행동 조절 기능

정서는 사회적 상황에서 아동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도록 돕는다.

 

ex) 엄마의 기분을 보고 행동을 바꾼다.  아이의 행동을 보고, 엄마의 행동도 달라진다.

 

사회적 참조 : 타인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정서적 정보를 유도해 내고 그것을 불확실한 사건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ex) 엄마의 기분을 파악 후 행동을 할 지 안 할지를 판단한다.

 

사회적 참조는 영아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향상한다.

어린 영아들은 타인에게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정서적 정보만을 활용하는 직접적인 사회적 참조를 주로 한다.

2세 중반경에는 타인 행동을 지켜보면서 정서적 정보를 포착하여 사회적으로 참조하게 된다.

 

신체 건강 조절 기능

- 아동이 우울, 분노,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때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고 신체의 면역체계도 손상이 된다.

 

최근 연구들은 성격 소인의 기초를 형성하는 특정 정서 상태가 심장병과 암의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스피치연구 - 생후 1년 보육시설 조사 -> 체중 감소, 질병감염, 우울, 위축

                                                 = 정서상태가 신체조절능력에 영향을 준다.

 

3. 정서발달 이론

행동주의 이론

왓슨 : 정서 반응은 고전적 조건화를 통해 학습한다고 주장

영아가 미소 짓고, 소리 내고, 우는 것은 강화와 처벌에 적절히 적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한계점 :

 

불유쾌한 경험과 사전 결합되는 것 없이 정서가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지 못 한다.

외형적으로 표현되는 정서만 다루고 기저에 있는 정서 상태는 다루지 못한다.(내면적 정서_

 

인지불균형 이론

인지발달이론가들은 정서를 인지적 용어로 설명

헴 : 아동은 새로운 자극을 접하면 이를 친숙한 대상의 정신적 표상과 비교한다.

새로운 자극과 아동의 내적 도식 간의 불균형이 조절과 동화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정서 반응을 만들어 낸다.

 

조직화 이론

조직화 이론가들은 정서가 환경 탐색을 촉진하고 위협적인 상황에 대처하며, 타인과 유대관계를 맺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4. 정서표현의 발달

행복

미소짓기 - 영아가 처음 보이는 정서이며, 사회적 생동의 하나인 미소 짓기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서 매우 중요

(영아의 미소는 성인으로부터 긍정적인 정서를 유도하고 성인과의 유대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생후 4주경에는 어머니의 음성이 영아에게서 미소를 유도하는 데 특히 효과적 자극이 된다.

2개월경에는 사람의 얼굴이 미소를 유발하는 자극이 된다.

 

웃음 - 미소보다 긍정적인 정서표현

 

분노

2개월경에 영아는 자신의 신체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지당할 때,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못하게 제지당할 때 그에 대한 반응으로 분노를 나타낸다.

 

7개월 이후에 분노의 표현이 급증

12개월경에는 어머니와의 격이레 대한 반응으로 분노가 나타난다.

분노는 좌절이 주는 사건이 반복됨으로써 나타나고 그 강도는 상황의 영향을 받는다.

 

두려움(공포)

7~8개월경에 극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1세 미만의 영아는 큰 소리나 그것과 연관된 사람이나 물체를 두려워한다.

2세경에는 어둠과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한다.

여아는 남아보다 두려움을 많이 느낀다.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방법

자신이 두려움을 다루는 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것으로 타인이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보는 모델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