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도하려 시도를 한다.

by <book> 2020. 9. 22.

자아개념 정의

자기 자신을 총체적으로 지작하고 느낀 결과로서의 자기 자신의 특성, 능력, 태도와 가치에 대한 총체적인 개념으로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자신의 믿음 자기, 자아, 자아상, 자기지식, 자기이해 등과 혼용되는 말

 

자아개념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인 자아인식은 자신과 타인이 별개의 존재임을 아는 것

18개월경 자기 인지

범주적 자아 자신을 정의할 때 전체 범주 속에 넣은 형태를 의미

 

3-5세 유아 이 시기의 유아의 자아개념은 사고의 양상과 같이 매우 구체적이므로 이 기시 유아들은 이름, 신체적 생김새, 소유물, 일상행동 등 관찰할 수 있는 특징을 언급

유아들은 심리적인 특성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는다.  6-7세경 가능

유아의 자기 정의가 강해질수록 사물에 대해 더 소유욕이 강해지는 경향

이는 이기심의 증거라기보다는 자신과 타인 사이의 경계를 명백히 하기 위한 노력으로 자아을 발달시키는 긍정적 표시

 

4-6세 유아 자신을 탐색하고 자신의 능력이나 한계를 확인하려 한다.

유아의 이러한 의도는 자기 주변의 일을 유아 자신이 주도하려 하는 시도를 하게 한다.

유아가 생활 주어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는 것은 유아의 자신감과 연결되고 성취감으로 발전한다.

자아개념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며 특정 단계에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생동안 변화를 겪으면서 발달해 간다.

 

2. 의도의 이해

유아들이 자기 자신의 행동이나 자기 자신에 대해서 보다 많이 알아감에 따라 고의적이고 의도적인 행동과 비의도적인 우연한 행동을 구별하기 시작한다.

 

2세 하려하는 행동을 알리기 위해 할거야, 해야 돼 등의 같은 말 사용

잘못된 행동에 대해 꾸지람 들은 후 실수였어요, 일부러 그런 게 아니었어요라 말한다.

 

2세반-3세 이러한 이해가 타인에게까지 확장, 어떤 사람의 행동이 의도적인 것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서들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인다.

말한 것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으면 그 행동이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유아기가 끝날 때쯤 의도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훨씬 광범위한 정보를 이용

어던 사람이 그가 하고 있는 것에 집중하고 있는지, 그 사람의 행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지 혹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지 등

 

행동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하면서 유아는 타인의 행동을 해석하고 절절히 반응할 수 있게 된다.

또래들과 잘 지내는 유아들은 의도적인지 비의도적인지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반응한다.

 

자아존중감

유아기 초기에 나타난다.

미래행동, 장기 심리 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아 발달의 가장 중요한 측면

자아개념이 자아에 대한 인지적 측면이라면 자아존중감은 감정적 측면 자기 존재에 대한 느낌

자아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의 판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로 표현될 수 있으며 자신의 능력, 중요성, 성공, 가치 등에 대해 스스로 어느 정도 믿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유아의 높은 자자존중감은 많은 새로운 기술들을 습득해야 하는 이 기간 동안 아주 바람직하고 유아의 주도성 발달에도 크게 기여한다.

자아존중감은 어른들의 인내력과 격려에 의해서 지지를 받는다.

자아존중감이 높으 유아는 자신의 판단에 자신감을 갖고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으로 자지주장을 하며 또래관계도 원만하다.

 

자기 통제

 

기억된 정보에 근거하여 아동이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행위에 맞추기 위해 보살펴 주는 사람이 없을 때에도 그들의 행위를 바꾸거나 지연시키는 것

18개월-30개월된 유아

가까이에 있는 장난감을 만지지 못하게 했을 때 만족을 지연시켰다.

 

3세 중반쯤 되면 유아들이 자기의 충동을 통제하는 능력이 뚜렷이 나타난다.

지시에 따라 기다리는 능력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급격하게 증가한다.

생의 초기에 자제력 부족은 이후의 발달에서 매우 부정적인 특성으로 될 수 있다.

학령전기에 긴 시간 동안 만족지연을 하지 못했던 아동들은 청소년이 되어서도 충동적이고 참을성이 없었지만 긴 시간 동안 만족지연을 보였던 아동들은 학업에서 유능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원만했으며 자신감이 있다.

어머니가 자녀들에게 정서적으로 반응이 없거나 강압적이고 비판적일 때 그리고 자녀들의 자기 통제가 잘 안되는 경향이 있다.

 

 

 

댓글